[조선일보]‘이건희 기증관 서울 건립’에 부산 시민단체 반발 확산
- onedongnam
- 2021년 7월 13일
- 2분 분량

부산시새마을회, 동남권발전협의회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최근 낸 '이건희 기증관 서울건립 반대 성명서'.
지난 7일 “고 이건희 회장의 기증 미술품을 전시할 공간(가칭 이건희 기증관)을 서울에 짓겠다”는 정부 발표 이후 “국가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는 성명서를 잇따라 내는 등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부산시새마을회·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바르게살기운동부산시협의회 등 3개 단체는 12일 ‘이건희 미술관 후보지 발표에 대한 부산지역 국민운동 3단체 공동성명'을 내고 “문화체육관광부의 결정에 부산 시민들은 허탈감과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 성명에서 “문체부의 일방적 결정은 행복한 문화생활을 염원한 시민들의 오랜 열망을 철저히 외면한 것임은 물론 ‘지방분권'과 ‘지역균형 발전'을 강조하던 문재인 정부의 정책 방향에도 전면 배치되는 것”이라며 “지역을 철저히 무시한 행위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시한다”고 말했다.
이 단체들은 또 “국민 의견 수렴과 소통의 과정 없이 일방적인 밀실 안 정책 결정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문체부가 제시한 서울 후보지 결정 재검토와 공모 등 공정하고 민주적 절차를 거쳐 다시 후보지를 선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홍순헌 부산 해운대구청장이 지난 8일 세종시 문화체육관광부 청사 앞에서 '이건희 미술관 서울 건립 철회'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해운대구
부산시민단체협의회 등 6개 시민단체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대한민국은 서울 뿐인가. 이건희 미술관 서울입지 결정은 재고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성명서에서 “공청회·토론회 한 번 없는 일방적 결정에 대해 정부는 즉각 사과하고 지금이라도 바로 잡을 것을 요구한다”며 “만일 그러지 않을 시 어떤 책임도 정부가 져야 한다”고 말했다.
동남권발전협의회도 지난 9일 “서울공화국을 강화하는 문체부의 발표에 참으로 어이가 없고 아연실색할 따름”이라며 “수도권과 지방의 문화격차를 줄이려면 오히려 피해야 할 서울에 이건희 소장품관을 짓는다는 건 문화 분권에 대한 지역 열망을 외면하고 국가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협의회는 또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국가균형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이건희 기증관'의 서울 건립을 재검토하라”며 “그러지 않을 경우 800만 동남권 주민들의 힘을 모아 이건희 기증관 서울 건립이 철회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도 이날 ‘이건희 컬렉션 활용 방안의 졸속 결정 문제 있다'는 성명서를 내고 “이건희 기증관을 비수도권에 두는 것이 전국이 3시간 안에 도달할 수 있는 작은 나라를 더 작게 만들고 있는 수도권 집중의 현실을 타파하고 국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성명서에서 “총 10차례 회의라는 짧은 논의에 기반한 급작스런 결정은 너무나 졸속적”이라며 “처음으로 등장한 대규모 국가기증의 의미를 살리고 향후 우리나라가 문화국가로 자리매김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이번 문체부 결정의 재고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부산시는 지난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역에 대한 무시이자 최소한의 공정한 절차도 거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이라고, 박형준 부산시장은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한 마디로 지역의 국민들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지역 무시와 오만 행정의 극치”라고 반발했다.
구청사를 내놓고 미술관 유치에 나섰던 해운대구도 발끈했다. 홍순헌 해운대구청장은 “아쉬운 것을 넘어 중앙정부가 정말로 잘못하는 것”이라며 “문체부에서 발표했다고 해서 확정됐다고 보지 않고, 어떤 형태든 지방으로 내려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구청장은 지난 8일 세종시 문체부 청사 앞에서 ‘이건희 미술관 서울 건립을 철회하라'는 1인 시위를 하기도 했다.
박주영 기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