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부산일보][기고] 메가시티 속의 금융중심지 역할 더 커진다

강병중 전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ree

대선을 앞두고 후보자들의 지역발전 공약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방안이 잇따라 발표돼 큰 기대를 하게 만든다. 대표적인 것이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및 금융공기업 이전, 해양금융 특화, 국제금융기구 유치,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추진 등이다. 그 하나하나가 부산의 오랜 염원이다.

동남권 전체의 큰 기대를 안고 올해 정식 출범하는 부울경메가시티에서도 금융은 가장 중요한 분야가 아닐 수 없다. 경제를 인체에 비유하면 금융은 핏줄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메가시티의 핏줄 역할을 할 부산 금융중심지는 현재 어떤 모습인가? 지난해 말 지방분권균형발전 부산시민연대가 금융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부산 금융중심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한마디로 참담하다. ‘외형적으로 성장했으나 국제화 등 내실을 갖추지 못했다’는 답이 10명 중 8명 정도로 가장 많았고, ‘계속 퇴보하고 있다’는 응답도 있었다. 무엇보다 ‘금융중심지 지정 후 발전했다’라고 답변을 한 응답자는 단 한 명도 없어 충격적이었다.

조사 결과를 논외로 치더라도, 시민연대가 메가시티의 출범을 앞두고 왜 이런 조사를 했는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메가시티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중심지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


돌이켜보면 부산이 금융중심지가 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정부가 수도권의 비대화를 억제하기 위해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4개 대도시에 수도권 기능을 분산시켜 각각 집중 육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2001년)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여기에 부산은 국제무역 및 금융중심지로 명시돼 있다. 그만큼 다른 지역에 비해 금융 환경이 비교우위에 있다는 증거다. 벌써 30년이나 된 정부의 약속이다.


그 후 1999년 부산선물거래소가 문을 열면서 부산은 정식으로 국제금융도시로서의 출발을 알렸는데, 그 때를 기준으로 해도 20년이 넘었다. 당시 부산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여러 기관과 단체, 또 부산시민들이 모두 나서 수도권의 엄청난 반대를 이겨내고 선물거래소 유치를 성사시켰다. 그 때 내세운 명분과 논리가 현재의 메가시티 결성과 똑같은 지방분권과 국토균형발전이었다. 선물거래소는 그 뒤에 코스닥·코스피와 합쳐져 한국거래소가 되고, 부산은 또 서울과 함께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그러나 부산은 그동안 이름뿐인 금융중심지였고, 알맹이는 늘 수도권 몫이었다. 금융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끊임없이 정부에 세금 혜택과 외국인들의 주거·교육·의료 편의 제공 등을 통한 국내외 금융회사 유치와 공기업 이전 등 각종 발전대책을 제언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악조건에서도 부산 금융중심지는 지난해 박성훈 당시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중심이 돼 홍콩 등지에 있던 해외 금융기관을 처음으로, 또 한꺼번에 6개를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 유치했다. 부산이 글로벌 금융중심지로서 외국금융기관을 충분히 유치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보여준 쾌거였다. 박 부시장은 그 후 부산시 경제특보를 거쳐 지난해 말 대선캠프에 합류했다. 홍콩 등지의 해외금융 관계 전문가가 후임 부산시 경제특보를 맡고 금융중심지 업무를 전담해서 부산이 계속해서 외국금융기관을 유치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메가시티는 가덕신공항이 완공되면 항만·철도에 더해 ‘트라이 포트’가 구축돼 동북아 물류허브가 될 것이다. 금융 수요는 자연히 더 커질 것이다. 최근 부산상공회의소가 나서 산업은행 등 핵심 금융공기업 이전 등을 대선 후보들에게 적극 건의하고 있다. 금융중심지 육성은 상공회의소와 시는 물론이고 학계와 시민단체를 비롯한 지역사회 전체가 나서야 할 발전과제다.

정부와 정치권도 전향적 자세로 금융중심지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하고, 대선 공약도 반드시 지켜지도록 해야 한다.



댓글


주소(ADDRESS)

(47852)

부산광역시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189, 2층 (사직동, 부산은행 사직동금융센터)

연락처
(CONTACT INFORMATION)

전화번호 051-502-7774

이메일 one.dongnam@gmail.com

사업자 등록번호 510-82-08131​

부산광역시.png
울산광역시.png
경상남도.png
부산상공회의소.png
울산상공회의소.png
창원상공회의소.png
국토교통부.png
국가균형발전위원회.png
자치분권위원회.png
926932_31872_1248.png

©2021. 동남권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